본문 바로가기

백로뜻 의미와 24절기 쉬운 설명

cosmoss 2020. 9. 1.
반응형

2020년 9월 7일은 백로

9월에 들어서니 밤기온이 내려가는 것이 느껴집니다.

가을이 다가오는 것 같습니다.

 

9월 7일은 24절기 중 '백로'입니다.

백로뜻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백로뜻

백로뜻은 하얀이슬입니다.

한자로 백로(白露)는 [흰 백 / 이슬 로] 하얀 이슬이라는 의미입니다.

밤의 기온이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 하얀 이슬 맺히는 시기라는 뜻입니다.

백로를 지나면 '가을이 깊어지는 구나' 정도로 생각하면 됩니다.

 

24절기중 백로는 가을에 해당하는 절기입니다.

가을 절기는 입추 / 처서 / 백로 / 추분 / 한로 / 상강 으로 이어집니다.

 

24절기란

가을엔 백로뜻 알고 가세요~~

아울러 24절기에 대하여도 알아보겠습니다.

24절기 백과사전적으로는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 만든...."과 같이 어렵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옛날에는 음력을 기준으로 달력을 사용했는데, 음력은 계절과 맞지 않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농사가 중요했던 시절 정확한 계절의 변화를 알려주는 달력은 꼭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음력에 보충하여 태양을 기준으로 한 양력개념의 24절기를 만든 것입니다.

 

1년은 365일 이므로 365/24=15.2 입니다.

즉 절기는 15일 전후마다 하나씩 등장하게 됩니다. 

 

정리하면

24절기는 음력을 사용하던 옛날, 농사를 짓기 위해 계절을 알려주기 위해 사용한 양력이다.

 

백로는 하얀이슬이 맺히는 시기로 가을이 다가온 것을 알려주는 가을 절기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