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주택 알아보실 때 상하수도 확인하세요
상하수도가 안되는 곳이 많습니다.
저는 이곳 양평으로 오기 전에는 서울, 남양주 등 아파트 단지에서 살았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정도면 상수도 수돗물이 웬만하면 다 나오는줄 알았습니다. 그래서 단독주택을 지을 때, 지하수를 이용해야 한다는 말에 조금은 의아해 했습니다. 그리고 두 번 더 이사하고 나서야 양평 정도의 시골에서는 상수도 뿐만 아니라 하수도도 안되는 집들이 꽤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2017년 기준으로 양평의 상수도 보급율은 73%, 하수도 보급율은 79%라고 합니다. 얼핏 생각해보면 상수도는 열 집 중 일곱 집, 하수는 열 집중 여덟 집이니 그래도 양호한 편이라고 생각할 수 도 있지만, 상수도와 하수도가 되는 곳은 그 지역의 중심지 정도이고, 조금만 메인 도로에서 멀리 떨어지거나, 면 단위로 지역으로 가게 되면 상하수도가 들어오는 곳이 더 적은 것이 현실입니다.
당연한 이야기 이지만, 상하수도도 그 정도 보급율이니 LNG 도시가스는 그냥 안된다고 보시는 편이 좋습니다.
상수도와 하수도가 안되면?
상수도가 안되면 지하수를 파야하고, 하수도가 안되면 정화조를 설치해야 합니다.
상수도관과 연결이 안돼서 지하수를 팔 경우, 지하수 개발해야 하는데, 개발 방법에는 크게 소공과 대공이 있습니다. 소공은 30m정도 깊이로 관을 박아 지하수를 끌어올리는 방법으로 300만원 정도의 비용이 들어가고, 대공은 100m 기준으로 땅을 파서 암반에 연결하는 방법으로 1000만원 정도의 비용이 들어가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공사여건에 따라 개발하는 깊이나 비용은 유동적이어서 정확한 내역은 지하수 개발업체에 견적을 받아봐야 합니다.
하수도관과 연결이 안되면 정화조를 설치해야 하고, 정화조 용량에 따라 다르지만 10인용 정도 기준으로 300만원 전후로 알고 있지만, 역시 정확한 비용과 공사방법은 업체에 문의해봐야 알 수 있습니다.
그렇게 상수도와 하수도가 연결이 안되는 전원주택들은 지하수와 정화조를 연결해서 대부분 사용하고 있으니, 그냥 나도 그렇게 연결해서 쓰면 별 문제가 없는 것이 아닌가하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렇게 간단한 문제만이 아닙니다.
지하수와 정화조는 골칫거리
지하수와 정화조로 상수도와 하수도를 대체하여 사용하고 나서야, 상수도와 하수도가 정말 중요한 시설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지하수의 문제점 중 첫째는 안전을 확인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지하수 수질검사를 매년 실시한다고는 하나, 수질검사비용도 20만원이 훨씬 넘어가 부담이 되어 매년하기도 쉽지 않지만, 가끔 냄새가 나거나 물이 흐려진 경우 지하수를 사용하기가 매우 꺼려집니다. 먹는 물이야 정수기나 생수를 구입해서 먹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지만, 설겆이나 씻는 물은 어쩔수 없이 지하수를 써야 합니다.
지난번 살았던 집에서 처음에는 물이 깨끗하여 매우 만족스럽게 사용하고 있었는데, 근처에서 집을 지으며 몇 군데 지하수 개발이 일어나니 물이 바뀌었다는 느낌을 받아 사용할 때마다 꺼림칙했었습니다.
더구나 지하수는 모터펌프로 물을 끌어올려 사용하는 데, 이 모터펌프가 은근히 고장이 잘납니다. 고장날 때마다 적게는 20만원에서 크게는 200만원까지 비용이 자꾸만 들어가는 것도 문제지만, 고장이 나면 하루에서 이틀 정도 물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데, 전원주택에 살다보면 이런 일은 생각보다 자주 겪는 일이 됩니다. 시골 중심지에 나가보면 모터만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상점을 볼 수 있습니다. 그만큼 고장이 잘난다는 것이겠지요.
정화조 역시 계속 관리를 해주어야 합니다. 1~2년에 한 번씩 정화조 업체를 불러 정화조를 비워야합니다. 그리고 정화조 인근은 항상 냄새가 나는 문제도 있습니다. 이런 정화조의 관리도 주기적으로 하려면 대단히 번거롭습니다.
쉽지는 않지만 상하수도는 필수인 집을 구하자.
그렇다면 상하수도가 되는 집을 구하는 것이 제일 이겠지만, 전원주택에서 상하수도가 되는 집은 극히 일부입니다. 최근 단지형으로 개발하는 곳에서는 상하수도를 연결할 수 있게 토지를 개발해서 분양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전에 개발된 곳이나 따로 떨어진 집들은 상하수도가 안된다고 보는 편이 맞습니다.
그럼에도 단독 전원주택을 구하신다면 꼭 상하수도는 연결되는 집으로 선택하시기를 제안드립니다. 상하수도가 연결되지 않은 집에서 살면서 일년에 한 두번 물 문제를 겪게되면, 물은 사람의 생활에 정말 정말 중요한 부분이라는 것을 느끼게 되기 때문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