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주택 인근에 축사가 있으면 발생하는 문제점
도시에서 생각하는 전원주택의 모습은 구체적 형태가 어찌되었건 자연 친화적인 모습이다. 이름부터 '전원' 주택이니 맑고, 깨끗하고, 한적하며, 평화로운 이미지가 그려진다. 하지만 전원주택 '인근'에 '축사'가 있다면 어떨까? 당연히 좋지 않은 것은 예상할 수 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인근'은 어느 정도의 거리를 뜻하며, '좋지 않은 것'은 구체적으로 무엇이 좋지 않은 것일까? 양평 살이 8년의 나의 경험을 정리해보았다.
축사의 좋지 않은 것
전원주택 주변에 축사가 있으면 발생하는 문제는 3가지 정도라고 생각한다.
첫번째는 냄새다. 축사가 가까이 있으면 냄새가 난다. 생각보다 멀리 있어도 냄새가 난다. 비 오는 날에는 훨씬 더 난다. 축사 냄새는 예상할 수 있듯이 축사에서 기르는 소나 돼지의 분뇨 냄새가 주를 이룬다. 분뇨 냄새를 좋아하는 사람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여름 장마철에 진하게 다가오는 축사 냄새는 삼복더위의 날씨에도 창문을 닫을 수 밖에 없게 만든다.
두번째 문제는 지하수 오염의 가능성 문제다. 대부분의 전원주택은 지하수를 사용한다. 상수도를 사용하는 주택도 늘고는 있지만 여전히 지하수가 대세이다. 지하수 관련으로는 지난 포스팅 글을 참고하기를 바란다.
https://cosmos9763.tistory.com/32
전원주택 알아보실 때 상하수도 확인하세요
상하수도가 안되는 곳이 많습니다. 저는 이곳 양평으로 오기 전에는 서울, 남양주 등 아파트 단지에서 살았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정도면 상수도 수돗물이 웬만하면 다 나오는줄 알았습니다.
cosmos9763.tistory.com
어찌되었건 축사는 가축의 분뇨가 생산되고 처리된다. 근래에는 축사 관련 환경규제도 엄격해지는 편이어서 분뇨처리도 규정에 맞게 처리한다고 기대할 지 모르겠지만, 대규모 축사가 아닌 소규모로 운영되는 축사가 완벽하게 분뇨를 처리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제대로 처리되지 않는 분뇨는 지하로 스며들고 지하수를 오염시킬 수도 있다. 오염의 가능성은 늘 불안하다.
세번째는 벌레다. 특히 모기와 파리 그 중에서도 파리가 제일 문제라고 생각한다. 시골에 가본 적이 있다면 시골에는 파리가 많다는 것을 알 것이다.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파리가 많은 가장 큰 원인은 축사일 가능성이 많다. 축사에서 발생하는 여러 요인들이 파리의 증식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 축사가 인근에 있으면 파리가 많이 날아온다. 날아오는 파리를 자세히 관찰해 보면 꽤 다양한 종류의 파리가 있다는 것을 배우게 된다. 큰 파리, 작은 파리, 수수한 빛깔, 화려한 빛깔 등 정말 종류가 많다. 아쉽게도 파리는 나비가 아니어서 다양한 모습을 보아도 예쁘지가 않다.
축사는 얼마나 떨어져야 하는가?
축사가 인근에 있으면 냄새, 지하수 오염, 벌레의 세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그렇다면 '인근'이란 주택에서 얼마나 떨어져야 하는 가?
구체적인 숫자로서 몇 킬로미터에 있으면 안된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한가지 확실한 것은 축사가 생각보다 멀리 떨어져 있어도 집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이다. 직접 알기 어려운 지하수 오염의 문제를 제외하고도, 냄새나 벌레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멀리 퍼진다. 개인적으로는 네이버 지도를 켜고 주택 인근을 살펴 나오는 마을에 축사가 있다면 주택의 구입 또는 신축을 보류하겠다.
축사보다 찾기 어려운 개사육장
사실 축사보다 최악은 개사육장이다. 왜냐면 집에서 소형으로 운영하는 축사는 더 이상 운영하지 않는 곳이 많고, 대형 축사는 규제에 따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개는 가축이 아니기 때문에 개를 기르는 곳은 축사가 아니다. 그리고 대부분 허가받지 않고 운영하며 산기슭이나 외진 곳에 숨겨져 있어 개 사육장의 존재는 집을 고를 때 알아차리지 못할 가능성도 크다. 개사육장은 축사의 세가지 문제에 더하여 개 짖는 소음 문제도 추가된다.
집을 고를 때는 꼭 축사를 확인하자
결론이다. 집을 고를 때는 꼭 축사가 있는 지 확인을 하자. 부동산에서 계약서를 작성할 때 계약서에 축사여부를 확인하고 공인중개사가 알려준다. 대부분 계약 도장을 찍기 직전에 몇 백미터 떨어진 곳에 축사가 있지만 큰 영향은 없다는 식으로 확인해주고 도장을 찍게 만든다. 그러니 계약 전에 물건을 소개받을 때 축사가 있는 지 부동산에 꼭 확인해야 한다.
댓글